20250129 [세 지파와 여호수아가 받은 기업, 여호수아 19장 24~51절] 양승언 목사

세 지파와 여호수아가 받은 기업

1월 29일(수)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여호수아 19장 24~51절    

아셀 지파의 기업 24다섯째로 아셀 자손의 지파를 위하여 그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25그들의 지역은 헬갓과 할리와 베덴과 악삽과 26알람멜렉과 아맛과 미살이며 그 경계의 서쪽은 갈멜을 만나 시홀 림낫에 이르고 27해 뜨는 쪽으로 돌아 벧 다곤에 이르며 스불론을 만나고 북쪽으로 입다 엘 골짜기를 만나 벧에멕과 느이엘에 이르고 가불 왼쪽으로 나아가서 28에브론과 르홉과 함몬과 가나를 지나 큰 시돈까지 이르고 29돌아서 라마와 견고한 성읍 두로에 이르고 돌아서 호사에 이르고 악십 지방 곁 바다가 끝이 되며 30또 움마와 아벡과 르홉이니 모두 스물두 성읍과 그 마을들이라 31아셀 자손의 지파가 그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 이 성읍들과 그 마을들이었더라

납달리 지파의 기업 32여섯째로 납달리 자손을 위하여 납달리 자손의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33그들의 지역은 헬렙과 사아난님의 상수리나무에서부터 아다미 네겝과 얍느엘을 지나 락굼까지요 그 끝은 요단이며 34서쪽으로 돌아 아스놋 다볼에 이르고 그 곳에서부터 훅곡으로 나아가 남쪽은 스불론에 이르고 서쪽은 아셀에 이르며 해 뜨는 쪽은 요단에서 유다에 이르고 35그 견고한 성읍들은 싯딤과 세르와 함맛과 락갓과 긴네렛과 36아다마와 라마와 하솔과 37게데스와 에드레이와 엔 하솔과 38이론과 믹다렐과 호렘과 벧 아낫과 벧 세메스니 모두 열아홉 성읍과 그 마을들이라 39납달리 자손의 지파가 그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 이 성읍들과 그 마을들이었더라

단 지파의 기업 40일곱째로 단 자손의 지파를 위하여 그들의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 41그들의 기업의 지역은 소라와 에스다올과 이르세메스와 42사알랍빈과 아얄론과 이들라와 43엘론과 딤나와 에그론과 44엘드게와 깁브돈과 바알랏과 45여훗과 브네브락과 가드 림몬과 46메얄곤과 락곤과 욥바 맞은편 경계까지라 47그런데 단 자손의 경계는 더욱 확장되었으니 이는 단 자손이 올라가서 레셈과 싸워 그것을 점령하여 칼날로 치고 그것을 차지하여 거기 거주하였음이라 그들의 조상 단의 이름을 따라서 레셈을 단이라 하였더라 48단 자손의 지파가 그에 딸린 가족대로 받은 기업은 이 성읍들과 그들의 마을들이었더라

여호수의 기업과 땅 분배 마무리 49이스라엘 자손이 그들의 경계를 따라서 기업의 땅 나누기를 마치고 자기들 중에서 눈의 아들 여호수아에게 기업을 주었으니 50곧 여호와의 명령대로 여호수아가 요구한 성읍 에브라임 산지 딤낫 세라를 주매 여호수아가 그 성읍을 건설하고 거기 거주하였더라 51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자손의 지파의 족장들이 실로에 있는 회막 문 여호와 앞에서 제비 뽑아 나눈 기업이 이러하니라 이에 땅 나누는 일을 마쳤더라


묵상하기

1. 아셀과 납달리, 단 지파가 분배 받은 땅에 대해 성경은 소개한다. 이들이 분배 받은 땅은 어디였는가? (24~48절)

2. 12정탐꾼 중 한 명인 갈렙으로부터 시작된 분배 이야기는 여호수아의 이야기로 끝맺는다. 여호수아가 받은 땅은 어디였으며, 땅 분배 이야기는 어떻게 마무리 되는가? (49~51절)

3. 남쪽 땅을 분배 받았지만 북쪽에 정착한 단 지파를 보면서 무슨 느낌이 드는가?

4. 단 지파는 하나님이 주신 땅이 아니라 자신들이 원하는 땅을 차지했다. 우리도 하나님의 뜻을 구하기 보다는 내 뜻대로 행하려는 마음이 없는가? 일상의 삶 가운데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순종하려고 노력할 줄 아는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길잡이

다섯째로 아셀 지파가 땅을 분배 받았다. 아셀 지파의 땅은 서쪽으로는 지중해와, 동쪽으로는 므낫세와 스블론 땅과 접해 있었다. 지중해 연안은 남쪽으로는 갈멜산에서 시작하여 북쪽은 시돈에 이르렀다(24~31절).

여섯째로 땅을 받은 것은 납달리 지파였다. 납달리 땅은 북부 갈릴리 지역에서도 숲과 기름진 땅으로 어우러진 중심부에 위치해 있었다. 서쪽으로는 아셀 지파, 남쪽으로는 스불론과 아셀 지파, 동쪽으로는 요단 강과 므낫세 지파가 납달리의 이웃이 되었다. 납달리 도시들에 대한 설명 중 견고한 성읍들이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는 요새화된 성읍을 뜻한다(32~39절).

일곱째이자 마지막으로 단 지파가 땅을 받았다. 서쪽으로는 지중해를 접했고, 남쪽으로는 유다 지파와, 동쪽으로는 베냐민과 에브라임 지파들과, 북쪽으로는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들과 이웃이 되었다. 문제는 분배 받은 땅을 차지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단 지파는 아모리 족속과 블레셋 족속이 거주하는 지역을 기업으로 받았는데, 이 땅을 떠나 갈릴리 호수 북쪽의 안전하고 풍요로운 레셈을 발견하고 그것을 정착하게 되었다. 결국 그들은 남쪽을 기업으로 받았지만 최종적으로 북쪽에 정착했기에 북쪽 지파들과 함께 소개되고 있다(40~48절).

가나안 땅 분배 이야기는 여호수아의 땅 이야기로 막을 내린다. 12정탐꾼 중 한 명이었던 갈렙의 이야기로 시작된 분배 이야기는 나머지 생존자였던 여호수아의 이야기로 결론짓는 것이다. 정직한 마음으로 충성된 삶을 사는 이들이 하나님의 축복 안에 거하는 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특히 여호수아가 직접 분배한 것이 아니라, 백성들이 지도자의 노고를 치하하여 그의 몫을 챙겨주었는데, 땅 분배에 있어서 공정성을 보여준다. 단지파와 달리 여호수아는 자신이 원하는 땅이 아니라 하나님이 백성들을 통해 주신 땅에 거하게 된 것이다. 여호수아가 받은 땅은 에브라임 산간지방에 있던 딤나 세라였다. 성경은 땅 분배가 실로에서 여호수아, 엘르아살 제사장, 그리고 각 지파의 대표가 함께 했다고 다시 한번 정리하며 마무리한다(49~51절).

단 지파는 원래 분배 받은 남쪽이 아니라 북쪽으로 올라가 영토를 차지하게 된다. 하나님이 주신 땅이 아니라 자신들이 원하는 땅을 차지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하나님이 원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것만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지 않는지 정직히 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기도

내가 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을 추구할 줄 아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삶속으로

무역업을 하는 사업가가 있었다. 무역의 날에 상을 받을 정도로 회사 운영이 잘 되었다. 어느 인터뷰에서 이렇게 사업이 잘 되는 비결이 무엇인지 묻자, 그는 “씁니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자세한 설명을 덧붙였다. 처음 사업을 시작하고 힘든 시기가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밤에 잠도 오지 않고, 잠이 안 와 새벽에 회사에 나와도 할 일도 없었다고 한다. 멍청히 앉아서 염려하며 불안에 빠진 자신이 모습이 한심하기도 해서, 잠이 안 와 일찍 회사에 출근하는 날이면 성경을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렇게 성경을 쓰다 보면 염려와 불안이 사라짐을 느끼게 되었다. 쓰는 것에 집중해서 잡생각이 사라진 것도 있지만, 성경을 쓰다 보니 이상하게 자신감도 생기고 왠지 잘 될 것 같은 막연한 생각도 들게 된 것이었다. 그래서 다음부터는 의도적으로 아침에 일찍 회사에 나와 성경을 쓰기 시작했고, 이 시간을 통해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마음을 깨닫게 되고 그러다 보니 보다 적극적으로 업무에도 임하고 성과도 있었다고 말한다. 인간적으로 생각으로 삶을 바라볼 때 누리지 못했던 은혜를 하나님의 마음으로 바라봄으로 누리게 된 것이다. 내 생각과 판단이 아니라 하나님의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볼 줄 아는 그리스도인이 되길 소망해 본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xtNnnJty_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