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4 [주의 길을 준비하라, 누가복음 3장 1~14절] 양승언 목사

주의 길을 준비하라

2월 14일(금)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누가복음 3장 1~14절

시대적 상황 1디베료 황제가 통치한 지 열다섯 해 곧 본디오 빌라도가 유대의 총독으로, 헤롯이 갈릴리의 분봉 왕으로, 그 동생 빌립이 이두래와 드라고닛 지방의 분봉 왕으로, 루사니아가 아빌레네의 분봉 왕으로, 2안나스와 가야바가 대제사장으로 있을 때에 하나님의 말씀이 빈 들에서 사가랴의 아들 요한에게 임한지라

광야에서 주의 길을 준비 3요한이 요단 강 부근 각처에 와서 죄 사함을 받게 하는 회개의 세례를 전파하니 4선지자 이사야의 책에 쓴 바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가 있어 이르되 너희는 주의 길을 준비하라 그의 오실 길을 곧게 하라 5모든 골짜기가 메워지고 모든 산과 작은 산이 낮아지고 굽은 것이 곧아지고 험한 길이 평탄하여질 것이요 6모든 육체가 하나님의 구원하심을 보리라 함과 같으니라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촉구 7요한이 세례 받으러 나아오는 무리에게 이르되 독사의 자식들아 누가 너희에게 일러 장차 올 진노를 피하라 하더냐 8그러므로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고 속으로 아브라함이 우리 조상이라 말하지 말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하나님이 능히 이 돌들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게 하시리라 9이미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였으니 좋은 열매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혀 불에 던져지리라 10무리가 물어 이르되 그러면 우리가 무엇을 하리이까 11대답하여 이르되 옷 두 벌 있는 자는 옷 없는 자에게 나눠 줄 것이요 먹을 것이 있는 자도 그렇게 할 것이니라 하고 12세리들도 세례를 받고자 하여 와서 이르되 선생이여 우리는 무엇을 하리이까 하매 13이르되 부과된 것 외에는 거두지 말라 하고 14군인들도 물어 이르되 우리는 무엇을 하리이까 하매 이르되 사람에게서 강탈하지 말며 거짓으로 고발하지 말고 받는 급료를 족한 줄로 알라 하니라


묵상하기

1. 디베료가 로마의 황제가 된지 15년 후에 하나님의 말씀이 요한에게 임했다. 요한이 받은 사명은 무엇인가? (1~6절)

2. 요한은 요단 강에서 본격적인 사역을 시작했다. 그는 자신에게 나오는 이들에게 무엇이라고 말하며 촉구했는가? (7~14절)

3.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는 세례 요한의 말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4. 세례 요한은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자부하던 유대인에게 회개하고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고 말한다. 믿는 성도인 우리 역시 날마다 자성하고 회개하며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어야 한다. 당신은 이 사실을 분명히 알고 있는가?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기 위해 당신에게서 고쳐야 할 점은 무엇인가?


길잡이

로마의 초대 황제인 가이사 아구스도가 사망하자, 가이사 디베료가 황제가 되었다(AD 14년). 디베로가 즉위한 지 15년이 지났을 때, 본디오 빌라도가 유대지역 통치의 책임자로 부임했다. 당시 갈릴리는 분봉왕 헤롯이, 이두래와 드라고닛 지방은 그의 동생 빌립이, 아빌레네는 분봉왕 루사이나가 다스리고 있었다. 율법에 의하면 대제사장은 한 사람이었지만, 당시에는 종교가 부패해 있었고 두 명의 대제사장, 안나스와 가야바가 존재했다. 그 때 세례 요한에게 하나님의 말씀이 임하게 된다(1~2절).

요한은 요단 강 부근에서 하나님이 주신 메시지를 전했다. 특히 회개의 세례를 전파했는데, 회개는 자신의 죄를 고백한 후 죄에서 돌아서서 하나님을 향해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요한은 죄로부터 정결해짐을 상징하는 행위로 세례를 베풀었는데, 요한이 베푼 세례의 특징은 대상에 있었다.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자부하던 유대인들에게 회개하고 세례를 받으라고 요한은 촉구했기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세례 요한의 사역은 구약의 선지자들에 의해 예언된 것으로,  이사야는 이렇게 예언했다. (1)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가 있을 것이다. 요한은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는 메신저의 역할을 맡았다. (2) 주의 길을 예비하게 될 것이다. 요한은 예수님이 오실 길을 준비하는 사명을 맡았다(3~6절).

요한은 자신에게 세례를 받으러 온 사람들을 책망했다. 그들을 독사의 자식들이라 부르며, 그들에게 임할 하나님의 진노를 경고했다. 하나님의 진노는 이방인들이 받게 될 것이라고 그들은 생각했지만, 요한은 스스로 의롭다고 생각했던 그들에게 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 이들의 문제는 무엇인가? 말과 삶의 분리에 있었다. 따라서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어야 한다. 지금과 같이 열매 없는 삶을 산다면 하나님의 심판을 결코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자 무리들은 어떻게 하면 구원을 얻을 수 있는지를 물었고, 요한은 어려운 사람들에게 음식과 옷을 나누어 주고 자비를 베풀라고 말했다. 세리들은 부정한 세금 포탈을 멈추고, 군인들은 강탈과 무고를 멈추고 받은 급여로 만족하며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고 권면했다(7~14절).

세례 요한은 하나님의 백성이라고 자부하던 유대인에게 회개하고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고 말한다. 믿는 성도인 우리 역시 날마다 자성하고 회개하며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어야 한다. 당신은 이 사실을 분명히 알고 있는가?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기 위해 당신에게서 고쳐야 할 점은 무엇인가?


기도

날마다 정직히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며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살아가게 하소서.


삶속으로

루스 그래함은 의료선교사인 넬슨 벨과 버지니아 벨의 딸로 태어나 어린 시절을 한국 평양에서 보냈다. 미국으로 돌아가 휘튼 대학교에서 빌리 그래함을 만나 결혼하게 된다. 그녀는 남편의 사역을 도우며 가정과 자녀 양육에도 헌신했다. 어쩌면 빌리 그래함이 하나님 앞에서 귀하게 쓰임 받은 이면에는 그녀의 수고가 있었다. 그런데 그녀의 묘비명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The End of construction. Thank you for your Patience."(공사 끝, 그동안의 인내에 감사를 드립니다.)

묘비명의 유래는 이렇다. 루스 그래함이 세상을 떠나기 전 차를 타고 가는데 동네에 공사 구간이 있었다. 그런데 공사현장에는 이런 표지판이 서 있었다. "공사중입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길이 깨끗해 졌고 표지판 문구가 바뀌었다. "공사 끝, 그동안의 인내에 감사를 드립니다.) 그 문구에 감동을 받은 루스 그래함은 남편에게 자기 묘비명에 적어 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우리도 누구나 공사 중인 상태임을 기억하고 날마다 자성하고 회개하며 자신의 모습을 바꾸어 나갈 줄 아는 사람이 되길 소망해 본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QrC5yp7ze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