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5 [비판보다 성찰을, 들음보다 행함을, 누가복음 6장 39~49절] 양승언 목사
비판보다 성찰을, 들음보다 행함을
2월 25일(화)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누가복음 6장 39~49절
비판에 대한 교훈 39또 비유로 말씀하시되 맹인이 맹인을 인도할 수 있느냐 둘이 다 구덩이에 빠지지 아니하겠느냐 40제자가 그 선생보다 높지 못하나 무릇 온전하게 된 자는 그 선생과 같으리라 41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42너는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를 보지 못하면서 어찌하여 형제에게 말하기를 형제여 나로 네 눈 속에 있는 티를 빼게 하라 할 수 있느냐 외식하는 자여 먼저 네 눈 속에서 들보를 빼라 그 후에야 네가 밝히 보고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를 빼리라
좋은 나무와 못된 나무 43못된 열매 맺는 좋은 나무가 없고 또 좋은 열매 맺는 못된 나무가 없느니라 44나무는 각각 그 열매로 아나니 가시나무에서 무화과를, 또는 찔레에서 포도를 따지 못하느니라 45선한 사람은 마음에 쌓은 선에서 선을 내고 악한 자는 그 쌓은 악에서 악을 내나니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니라
행함의 중요성 46너희는 나를 불러 주여 주여 하면서도 어찌하여 내가 말하는 것을 행하지 아니하느냐 47내게 나아와 내 말을 듣고 행하는 자마다 누구와 같은 것을 너희에게 보이리라 48집을 짓되 깊이 파고 주추를 반석 위에 놓은 사람과 같으니 큰 물이 나서 탁류가 그 집에 부딪치되 잘 지었기 때문에 능히 요동하지 못하게 하였거니와 49듣고 행하지 아니하는 자는 주추 없이 흙 위에 집 지은 사람과 같으니 탁류가 부딪치매 집이 곧 무너져 파괴됨이 심하니라 하시니라
묵상하기
1. 예수님은 비유를 통해 비판의 위험성에 대해 가르치신다. 비유의 내용은 무엇이며 비판은 어떤 위험성이 있는가? (39~42절)
2. 예수님은 나무와 열매의 비유와 반석 위의 집의 비유를 통해 믿음과 행함의 관계를 설명한다. 비유의 내용과 비유가 가르치는 바는 무엇인가? (43~49절)
3. 형제의 눈에 있는 티는 보면서 자기 눈의 들보는 보지 못한다는 말씀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4. 당신은 비판의 위험성을 충분히 알고 있는가? 내 눈의 들보를 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범한 적은 없는가? 관계를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길잡이
우선 예수님은 비유로 당시 종교지도자의 문제를 말씀하신다. 맹인이 인도자가 되어 다른 맹인을 인도하면 둘 다 구덩이에 빠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는 당시 종교지도자인 서기관과 바리새인을 염두에 둔 말씀이다. 그들은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닫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마저 잘못된 길로 인도하고 있었다. 제자는 선생보다 더 많이 알 수 없다. 따라서 제자는 교만에 빠지지 말고 온전한 자가 될 때까지 겸손히 배우려고 노력해야 한다. 당시 종교자들은 모든 것을 아는 자처럼 행동하고 있었다.
그런 다음 형제 비판의 모순에 대해 말씀하신다. 형제를 비판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눈 속에 티는 보면서 자기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는 행위와 같다. 자신의 잘못은 보지 못하고 남의 잘못을 비난하는 사람은 외식하는 자다. 외식하는 자는 가면을 쓰고 연기하는 것을 의미하며, 자신과 사람들을 속이는 것을 뜻한다. 그럼 비판하지 말라는 이야기인가? 다른 사람을 비판하는 동일한 기준으로 자신의 모습을 돌아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겸손함을 갖출 때 비판은 서로에게 유익을 가져다 줄 것이다(39~42절).
예수님은 나무와 열매의 비유를 가르치신다. 좋은 나무인지 아닌지는 열매로 판단할 수 있다. 가시나무에서 무화과를 얻을 수 없고 찔레에서 포도를 따지 못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선한 사람과 악한 사람도 마찬가지다. 선한 사람은 마음에 쌓은 선에서 선을 내고, 악한 자는 마음에 쌓아 둔 악에서 악을 낸다.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열매는 그가 사용하는 언어다. 비판을 비롯해 언어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우리의 마음을 반영하기 때문이다(43~45절).
예수님은 반석 위의 집의 비유로 행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우리가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부른다면 그분의 가르침을 실천할 줄 알아야 한다.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실천하는 사람은 반석 위에 집을 지은 사람과 같아서, 위기가 닥쳐도 이겨낼 수 있다. 반대로 행하지 않는 사람은 흙 위에 집을 지은 사람처럼 인생의 위기에서 무너져 내리게 될 것이다. 행함이 없는 믿음의 위험성에 대해 우리는 두려움을 가져야 한다. 예수님은 행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말씀을 마치셨다(46~49절).
당신은 비판의 위험성을 충분히 알고 있는가? 내 눈의 들보를 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범한 적은 없는가? 관계를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기도
다른 사람 눈의 티만 보지 말고 내 눈의 들보를 볼 줄 아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삶속으로
사랑의교회에서 부교역자로 사역할 때였다. 지금은 소천하신 옥한흠 목사님이 담임목회자로 사역할 때였다. 한번은 옥 목사님이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혼자서 강남역에 나가서 전도지를 돌리셨다. 나중에 이 사실을 알고 목사님에게 왜 전도했는지를 물었다. 그러자 목사님이 대각성전도집회를 앞두고 전도를 하자고 설교를 해야 하는데, 본인은 전도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나가서 전도를 하셨다는 말씀했다. 다른 사람에게만 짐을 지우기 보다는, 함께 짐을 지고 믿음의 길을 걸어가는 사람이 되길 소망해 본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Pon1gJkp_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