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4 [제자도, 누가복음 14장 25~35절] 양승언 목사

제자도

3월 24일(월)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누가복음 14장 25~35절

제자의 자격 25수많은 무리가 함께 갈새 예수께서 돌이키사 이르시되 26무릇 내게 오는 자가 자기 부모와 처자와 형제와 자매와 더욱이 자기 목숨까지 미워하지 아니하면 능히 내 제자가 되지 못하고 27누구든지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지 않는 자도 능히 내 제자가 되지 못하리라

제자도에 필요한 계산과 각오 28너희 중의 누가 망대를 세우고자 할진대 자기의 가진 것이 준공하기까지에 족할는지 먼저 앉아 그 비용을 계산하지 아니하겠느냐 29그렇게 아니하여 그 기초만 쌓고 능히 이루지 못하면 보는 자가 다 비웃어 30이르되 이 사람이 공사를 시작하고 능히 이루지 못하였다 하리라 31또 어떤 임금이 다른 임금과 싸우러 갈 때에 먼저 앉아 일만 명으로써 저 이만 명을 거느리고 오는 자를 대적할 수 있을까 헤아리지 아니하겠느냐 32만일 못할 터이면 그가 아직 멀리 있을 때에 사신을 보내어 화친을 청할지니라 33이와 같이 너희 중의 누구든지 자기의 모든 소유를 버리지 아니하면 능히 내 제자가 되지 못하리라

맛 잃은 소금 34소금이 좋은 것이나 소금도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35땅에도, 거름에도 쓸 데 없어 내버리느니라 들을 귀가 있는 자는 들을지어다 하시니라


묵상하기

1. 예수님을 자신을 따르는 무리에게 제자도를 가르치셨다. 예수님을 따르기 위해서는 어떤 삶의 자세가 필요한가? (25~27절)

2. 예수님은 무리들에게 두 가지 비유를 말씀하셨다. 비유의 내용과 비유를 통해 주고자 하신 메시지는 무엇인가? (28~34절)

3. 자기 가족과 목숨까지 미워하지 않으면 내 제자가 될 수 없다는 예수님의 말씀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4. 당신은 그 무엇, 그 누구보다도 예수님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는가?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그 이유는 어디에 있는가?


길잡이

예수님은 바리새인의 집에서 나와 예루살렘으로 향했고, 많은 무리들이 따라왔다. 그동안 제자들에게만 제자도에 대해 가르쳤던 예수님은 이번에 무리에게 가르치셨다. 예수님을 따르기 위해서는 (1)자기 자신과 가족을 미워해야 한다. 여기서 미워하다는 말은 비교할 때 사용되는 단어로, 덜 사랑하는 뜻이다. 즉 예수님을 사랑하고 따르는 것을 최우선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2)자기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 당시 십자가는 가장 수치스럽고 잔혹한 죽음과 고난을 상징했다. 주님을 따르기 위해서는 희생과 헌신이 불가피하다. 왜인가? 아직 악한 세상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십자가의 길을 걷는 이에게는 부활의 영광이 기다리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25~27절).

제자도에 대한 두 가지 원리를 가르치신 예수님은 계속해서 두 가지 비유를 말씀하셨다. (1)망대를 세울 때 사전에 공사 비용을 사전에 계산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재정이 부족하여 공사가 중단되면 사람들이 어리석고 무능하다고 비웃을 것이기 때문이다. (2)적군이 침략해 왔을 때, 자신의 군대로 맞서 싸워 이길 수 있는지 계산해 보아야 한다. 만약 이길 수 없다면 적군이 들이닥치기 전에 화친을 청하는 것이 자신과 군대와 백성이 사는 길이다. 마찬가지로 제자가 되려면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하는지 미리 계산해 보아야 한다. 중간에 그만 둔다면 시작하지 않는 것보다 못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예수님은 자신을 따르려면 모든 소유를 버려야 한다고 가르친다. 예수님을 따르기 위해서는 영원하지 않는 이 땅의 것들에 대한 사랑과 욕심을 내려놓아야 한다(28~33절).

만약 예수님이 원하시는 제자도를 따르지 않는다면, 우리는 맛 잃은 소금과 같이 될 것이다. 맛 잃은 소금이 쓸모가 없듯이, 제자도를 잃은 그리스도의 삶은 세상에 어떤 영향력도 미칠 수 없다(34~35절).

당신은 그 무엇, 그 누구보다도 예수님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는가?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그 이유는 어디에 있는가?


기도

고난 없이는 영광도 없음을 기억하고 믿음과 소망으로 예수님을 따라 살아가게 하소서.


삶속으로

강수진 씨는 세계적인 발레리나로 알려진 인물이다. 무용계의 아카데미상으로 알려진 “브누아 드 라 당스”에서 최우수 무용상을 받기도 했고, 최고의 예술가에게 부여하는 독일의 ‘캄머탠처린(궁중무용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런데 한 때 그녀의 발 사진이 유명해진 적이 있다. 발 모양이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멀었다. 구부러지고 뭉개지고 굳어버린 온통 상처투성이었다. 심지어는 그녀의 발 사진이 아니라는 논쟁까지 일기도 했다. 하지만 그녀의 발 사진이 맞았고, 그녀의 남편이 훈련을 마치고 쉬고 있는 아내의 발 사진을 찍어 인터넷에 올린 것이었다. 그녀의 발 사진이 사람들의 주목을 끈 것은 그녀의 노력의 산물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녀는 흔히 말하는 발레 천재는 아니었다고 한다. 발레를 시작한 것도 중학교 때였고, 포기하고 싶은 순간도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스스로 포기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고, 하루에 19시간씩 이를 악물고 연습했다고 한다. 역경과 고난이 없이 가치 있는 것을 얻을 순 없다. 예수님을 따르는 삶도 마찬가지다. 부득이하게 고난과 역경의 시기를 지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고난 너머에 있는 영광을 바라봄으로 믿음이 길을 걸어가길 소망해 본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k0IyRMOmJ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