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사울의 후손과 아각의 후손, 에스더 2장 19절~3장 6절] 양승언 목사

사울의 후손과 아각의 후손

5월 14일(수)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에스더 2장 19절 ~ 3장 6절

모반을 막은 모르드개 19처녀들을 다시 모을 때에는 모르드개가 대궐 문에 앉았더라 20에스더는 모르드개가 명령한 대로 그 종족과 민족을 말하지 아니하니 그가 모르드개의 명령을 양육 받을 때와 같이 따름이더라 21모르드개가 대궐 문에 앉았을 때에 문을 지키던 왕의 내시 빅단과 데레스 두 사람이 원한을 품고 아하수에로 왕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미는 것을 22모르드개가 알고 왕후 에스더에게 알리니 에스더가 모르드개의 이름으로 왕에게 아뢴지라 23조사하여 실증을 얻었으므로 두 사람을 나무에 달고 그 일을 왕 앞에서 궁중 일기에 기록하니라

모르드개의 불복과 하만의 음모 1그 후에 아하수에로 왕이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의 지위를 높이 올려 함께 있는 모든 대신 위에 두니 2대궐 문에 있는 왕의 모든 신하들이 다 왕의 명령대로 하만에게 꿇어 절하되 모르드개는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하니 3대궐 문에 있는 왕의 신하들이 모르드개에게 이르되 너는 어찌하여 왕의 명령을 거역하느냐 하고 4날마다 권하되 모르드개가 듣지 아니하고 자기는 유다인임을 알렸더니 그들이 모르드개의 일이 어찌 되나 보고자 하여 하만에게 전하였더라 5하만이 모르드개가 무릎을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함을 보고 매우 노하더니 6그들이 모르드개의 민족을 하만에게 알리므로 하만이 모르드개만 죽이는 것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아하수에로의 온 나라에 있는 유다인 곧 모르드개의 민족을 다 멸하고자 하더라


묵상하기

1. 에스더가 왕후가 된 후 모르드개는 반란 계획을 막게 된다. 어떻게 반란 계획을 막게 되었는가? (19~23절)

2. 아하수에로 왕은 아각 사람 하만을 최고직에 올리게 된다. 하만이 최고직에 오른 후에 어떤 일이 있었는가? (1~6절)

3. 모르드개가 반란을 막은 사건이 궁중 일기에 기록되었다는 표현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참고 갈 6:9)
갈 6:9/ 우리가 선을 행하되 낙심하지 말지니 포기하지 아니하면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4. 모르드개가 반란을 막은 사건은 훗날 유대인들을 구원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하나님은 우리의 성실을 통해 일하시는 분임을 믿는가? 이런 믿음으로 오늘 당신이 성실히 감당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길잡이

아하수에로 왕이 새로운 첩을 모집할 때, 모르드개는 대궐 문에 앉아 있었다. 대궐 문에 앉았다는 표현은 왕궁에서 일하는 관리가 되었다는 뜻이다. 에스더는 여전히 자신의 민족을 밝히지 않았는데, 이는 모르드개의 명한 것이었다. 에스더가 왕후가 된 후에도 여전히 모르드개의 말에 순종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모르드개는 업무 중 우연히 왕의 내시였던 빅단과 데레스가 원한을 품고 아하수에로 왕을 죽이려는 반란 계획을 발견하고, 이를 왕후 에스더에게 알렸다. 다시 에스더는 모르드개의 이름으로 왕에게 고했고, 조사 결과 사실임이 밝혀져 두 사람을 처형하게 된다. 특히 이 사건은 왕 앞에서 궁중 일기에 기록되었는데, 이는 훗날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19~23절).

에스더가 왕후가 된 지 5년 후, 아하수에로 왕은 아각 사람 하만에게 신하들 중 가장 높은 지위를 부여한다. 아각은 아멜렉 족속의 왕을 부르는 칭호로, 아말렉 족속은 대대로 유다인들과 적대적 관계에 있었다. 왕은 모든 신하들에게 하만에게 절을 하도록 명령했는데, 모르드개는 이를 거절하게 된다. 모르드개는 종교적 신념에 따라 하나님 외에 누구에게도 절하는 것을 거부한 것이다. 그러자 다른 신하들이 모르드개에게 왕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이유를 물었고, 날마다 하만에게 절하라고 권했지만 모르드개는 끝내 거절하게 된다. 결국 그들은 이를 하만에게 보고했고, 이 소식을 들은 하만은 분노하게 된다. 특히 하만은 모르드개만 죽이는 것에서 만족하지 않고 제국에 있는 유다 민족 전부를 죽이려는 계획을 세우게 된다(1~6절). 

모르드개가 반란을 막은 사건은 훗날 유대인들을 구원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하나님은 우리의 성실을 통해 일하시는 분임을 믿는가? 이런 믿음으로 오늘 당신이 성실히 감당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기도

선을 행하되 포기하지 않으면 때가 되면 거두리라는 말씀처럼 어떤 상황 속에서도 낙심하지 않고 믿음의 길을 걷게 하소서.


삶속으로

어느 마을에 한 농부가 있었다. 그는 모소 대나무 씨앗을 심고 정성을 다해 가꾸기 시작했다. 매일같이 땅을 고르고, 물을 주고, 잡초를 뽑으며 최선을 다했다. 그런데 몇 달이 지나도, 심지어 1년, 2년이 지나도 땅 위로는 작은 싹조차 나오지 않았다. 그러자 주변 사람들은 농부를 비웃기 시작했다.

“아직도 그거 키우냐? 씨앗이 죽은 거 아냐?”, “그 시간에 다른 걸 심지 그래?”

농부의 마음에도 때로 의심이 스쳐 갔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매일같이 똑같이 돌보았다. 그렇게 3년, 4년이 흘렀고, 여전히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농부는 알고 있었다. 이 대나무는 겉으로는 아무 변화가 없지만, 땅 속 깊은 곳에서 뿌리를 넓고 튼튼하게 뻗고 있다는 사실을. 그리고 드디어 5년째 되는 해,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대나무가 싹을 틔우더니 믿을 수 없는 속도로 자라기 시작한 것이었다. 하루에 30cm 이상씩 자라더니 불과 몇 주 만에 20미터가 넘는 거대한 대나무 숲이 만들어졌다.

마을 사람들은 입을 다물지 못했다. 그러나 그 기적은 단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5년 동안 땅속 깊이 내린 뿌리가 폭발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한 것이었다.

우리는 종종 즉각적인 열매를 기대하지만, 많은 경우 하나님은 보이지 않는 자리에서 깊은 뿌리를 내리게 하신다. 우리가 낙심하지 않고 계속해서 선을 행한다면 마침내 하나님의 때가 놀라운 결실을 얻게 될 것이다. 모소 대나무를 키우는 농부의 인내처럼,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기도, 수고, 헌신도 결코 헛되지 않으며, 반드시 열매 맺는 날이 올 것이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OWczX84Pp4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