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아마겟돈 전쟁과 최후 심판, 요한계시록 16장 12~21절] 양승언 목사

아마겟돈 전쟁과 최후 심판

7월 25일(금)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요한계시록 16장 12~21절

여섯째 대접 재앙: 아마겟돈 전쟁 12또 여섯째 천사가 그 대접을 큰 강 유브라데에 쏟으매 강물이 말라서 동방에서 오는 왕들의 길이 예비되었더라 13또 내가 보매 개구리 같은 세 더러운 영이 용의 입과 짐승의 입과 거짓 선지자의 입에서 나오니 14그들은 귀신의 영이라 이적을 행하여 온 천하 왕들에게 가서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의 큰 날에 있을 전쟁을 위하여 그들을 모으더라 15보라 내가 도둑 같이 오리니 누구든지 깨어 자기 옷을 지켜 벌거벗고 다니지 아니하며 자기의 부끄러움을 보이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16세 영이 히브리어로 아마겟돈이라 하는 곳으로 왕들을 모으더라

일곱째 대접 재앙: 바벨론의 멸망 17일곱째 천사가 그 대접을 공중에 쏟으매 큰 음성이 성전에서 보좌로부터 나서 이르되 되었다 하시니 18번개와 음성들과 우렛소리가 있고 또 큰 지진이 있어 얼마나 큰지 사람이 땅에 있어 온 이래로 이같이 큰 지진이 없었더라 19큰 성이 세 갈래로 갈라지고 만국의 성들도 무너지니 큰 성 바벨론이 하나님 앞에 기억하신 바 되어 그의 맹렬한 진노의 포도주 잔을 받으매 20각 섬도 없어지고 산악도 간 데 없더라 21또 무게가 한 달란트나 되는 큰 우박이 하늘로부터 사람들에게 내리매 사람들이 그 우박의 재앙 때문에 하나님을 비방하니 그 재앙이 심히 큼이러라


묵상하기

1. 여섯째 천사가 대접을 쏟자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그리고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 (12~16절)

2. 일곱째 천사가 대접을 쏟자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그리고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 (17~21절)

3. 큰 성 바벨론이 무너지는 모습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4. 이 땅의 삶은 임시적이고 일시적이다. 당신은 이 사실을 잊지 않고 살아가고 있는가? 영원한 삶을 바라봄으로 오늘 당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길잡이

오늘 본문은 일곱 대접 재앙 중 6번째와 7번째 재앙을 묘사한 것으로, 최종 심판과 바벨론의 파멸로 절정에 이른다.

여섯째 천사가 대접을 쏟자, 유브라데 강이 마르고 동방에서 오는 왕들의 길이 예비 되었다. 유브라데는 고대 근동에서 강력한 제국들이 등장한 지역으로, 종말의 전쟁을 상징하는 무대가 되었다. 강이 말라 동방에서 오는 왕들의 길이 열리는 것은 악의 군대의 출현과 하나님의 대적 세력의 결집을 의미한다. 요한은 개구리 같은 세 더러운 영이 용과 짐승과 거짓 선지자의 입에서 나오는 것을 보았다. 개구리는 구약에서 부정한 동물로 여겨졌으며, 용은 사탄을, 짐승은 적그리스도를, 거짓 선지자는 사람들을 유혹해서 죄와 우상숭배의 길로 이끄는 자들이다. 이들은 온천하의 왕들을 모아 전쟁을 준비한다. 이들은 아마겟돈이라는 곳에 모이게 되는데, 이것은 하나님의 큰 날에 있을 선과 악의 마지막 전쟁의 상징이다. 예수님의 재림은 도둑 같이 예상하지 못하는 순간에 일어날 것이며, 깨어 옷을 지키는 자는 수치를 당하지 않게 될 것이다. 영적으로 깨어 죄나 나태함에 빠지지 않아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12~16절). 

일곱째 천사는 공중에 대접을 쏟았다. 이는 사탄의 영역(공중의 권세 잡은 자)을 향한 심판이며, 하나님의 심판이 절정에 이르렀음을 뜻한다. 이 때 성전의 보좌에서 음성이 나와 “되었다”라고 말했다. 이는 십자가 위에서 예수님의 말씀하신 “다 이루었다.”와 연결되며, 구원과 심판 모두 하나님의 뜻 안에서 완성되었다는 뜻이다. 번개와 음성들과 우렛소리가 들렸고 유래가 없는 큰 지진이 있었다. 이는 옛 질서와 옛 세상이 완전히 파괴됨을 의미한다. 이 지진으로 큰 성 바벨론은 세 갈래로 갈라지고 만국의 성들도 무너졌다. 바벨론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전체 불경건한 세상 체제, 즉 그 경제력, 정치적 부패, 영적 우상 숭배를 상징한다. 바벨론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은 요한계시록의 핵심 주제다. 각 섬도 없어지고 산악도 없어지는데, 이는 하나님의 심판의 최종성을 강조한 표현이다. 무게가 한 달란트가 넘는 우박이 떨어지는데, 이는 하나님의 심판의 크기가 얼마나 큰 것인지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완악한 마음은 회개가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지속적인 불복종과 신성 모독으로 이어진다. 이는 불경건한 자들의 만연한 반역을 강조한 것이다(17~21절).

이 땅의 삶은 임시적이고 일시적이다. 당신은 이 사실을 잊지 않고 살아가고 있는가? 영원한 삶을 바라봄으로 오늘 당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기도

우리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지가 어디인지를 잊지 않게 하시고 믿음으로 순례의 길을 걸어가게 하소서.


삶속으로

애플의 공동 창업자이자 혁신가인 스티브 잡스는 죽음을 잊고 살다가 병을 통해 비로소 삶의 유한성을 깨닫고 남은 삶을 재정의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생전에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지만, 췌장암 진단을 받기 전까지는 자신의 일과 성공에만 몰두하는 경향이 있었다. 2005년 스탠퍼드 대학교 졸업 축사에서 그는 자신이 암 진단을 받았던 경험을 솔직하게 털어놓으며 이렇게 말했다.

"나는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며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만약 오늘이 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오늘 내가 하려는 일을 할 것인가?' 그리고 여러 날 동안 연속으로 '아니오'라는 대답이 나오면, 나는 뭔가를 바꿔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죽음을 기억하는 것은 내가 삶에서 큰 선택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는 가장 중요한 도구입니다. 왜냐하면 거의 모든 것, 즉 외부의 기대, 모든 자부심, 모든 수치심과 실패의 두려움은 죽음 앞에서 사라지고 오직 진정으로 중요한 것만 남기 때문입니다. 죽음을 기억하는 것은 당신이 잃을 것이 있다는 생각의 덫을 피하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당신은 이미 벌거벗은 상태입니다. 당신의 심장을 따르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잡스는 죽음의 그림자를 통해 삶의 진정한 의미와 우선순위를 깨닫고, 남은 시간 동안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일과 가족에게 집중했다. 스티브 잡스의 사례는 죽음을 잊고 살다가 위기에 직면했을 때, 오히려 그 위기가 삶의 방향을 전환하고 더욱 충실한 삶을 살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는 천성을 찾아가는 순례자들이다. 이 사실을 잊지 않고 믿음으로 순례길을 걸어가길 소망해 본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rWPzvW9RK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