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참된 금식, 스가랴 7장 1~14절] 양승언 목사

참된 금식

8월 12일(화)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스가랴 7장 1~14절

벧엘에서 온 사절단 1다리오 왕 제사년 아홉째 달 곧 기슬래월 사일에 여호와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하니라 2그 때에 벧엘 사람이 사레셀과 레겜멜렉과 그의 부하들을 보내어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고 3만군의 여호와의 전에 있는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에게 물어 이르되 내가 여러 해 동안 행한 대로 오월 중에 울며 근신하리이까 하매

5월과 7월의 금식 4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5온 땅의 백성과 제사장들에게 이르라 너희가 칠십 년 동안 다섯째 달과 일곱째 달에 금식하고 애통하였거니와 그 금식이 나를 위하여, 나를 위하여 한 것이냐 6너희가 먹고 마실 때에 그것은 너희를 위하여 먹고 너희를 위하여 마시는 것이 아니냐

하나님의 요구 7예루살렘과 사면 성읍에 백성이 평온히 거주하며 남방과 평원에 사람이 거주할 때에 여호와가 옛 선지자들을 통하여 외친 말씀이 있지 않으냐 하시니라 8여호와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9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여 이르시기를 너희는 진실한 재판을 행하며 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며 10과부와 고아와 나그네와 궁핍한 자를 압제하지 말며 서로 해하려고 마음에 도모하지 말라 하였으나

백성의 불순종과 하나님의 진노 11그들이 듣기를 싫어하여 등을 돌리며 듣지 아니하려고 귀를 막으며 12그 마음을 금강석 같게 하여 율법과 만군의 여호와가 그의 영으로 옛 선지자들을 통하여 전한 말을 듣지 아니하므로 큰 진노가 만군의 여호와께로부터 나왔도다 13내가 불러도 그들이 듣지 아니한 것처럼 그들이 불러도 내가 듣지 아니하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였느니라 14내가 그들을 바람으로 불어 알지 못하던 여러 나라에 흩었느니라 그 후에 이 땅이 황폐하여 오고 가는 사람이 없었나니 이는 그들이 아름다운 땅을 황폐하게 하였음이니라 하시니라


묵상하기

1. 벧엘 사람들이 사절단을 보내어 질문한 내용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하나님의 답변은 무엇이었는가? (1~6절)

2.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인 이스라엘에게 진심으로 바라던 것은 무엇이며, 이에 대해 이스라엘은 어떻게 반응했는가? (7~14절)

3. 금식이 하나님을 위한 것인지 자신들을 위한 것인지 묻는 질문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4. 당신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니라 진심으로 하나님을 믿고 섬기는 사람인가? 당신의 믿음은 어떤 삶의 증거로 나타나고 있는가?


길잡이

오늘 본문은 유다 백성들이 형식적인 종교 행위에 빠져 하나님의 뜻을 잊고 있음을 지적하며, 진정한 순종의 삶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 역사적 배경(1~3절)

다리오 왕 제4년 아홉째 달 곧 기슬래월 사일(주전 518년)에 일어난 일이다. 이는 스가랴 선지자가 8가지 환상을 본 지 약 2년 뒤이며, 예루살렘 성전 재건이 한창 진행 중이던 때였다. 벧엘 사람들이 사레셀과 레겜멜렉을 보내어 성전의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에게 질문을 했다. 벧엘은 예루살렘 북쪽에 위치한 중요한 도시로, 공식적인 사절단을 보냈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한 문제였음을 보여준다. 이들은 여러 해 동안 행한 대로 5월 중에 울며 근신할 지를 물었다. 여기서 5월은 예루살렘 성전이 바벨론에 의해 파괴된 것을 슬퍼하며 금식했던 달이다. 포로 생활 70년 동안 이 금식을 지켜왔지만, 이제 성전 재건이 진행되고 있으니 계속해야 할지를 묻은 것이다.

· 하나님의 답변: 금식의 진정한 의미(4~7절)

하나님은 그들의 질문에 직접적으로 대답하기보다, 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셨다. 이스라엘이 70년 동안 5월과 7월에 금식하고 애통했는데 그것이 하나님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너희를 위한 것인지를 물으셨다. 여기서 5월은 성전 파괴를, 7월은 유다 총독 그달랴의 암살 사건을 슬퍼하는 금식일이었다. 먹고 마실 때도 그들 자신을 위해 한 것처럼, 금식할 때도 그들 자신을 위해 했다고 지적하셨다. 즉 그들의 종교 행위는 내면의 진정한 회개나 하나님을 향한 순종 없이, 단지 자신들의 종교적인 만족을 위해 관습적이고 형식적으로 실시한 외식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그들의 삶 자체가 자기 중심적이었기 때문에 금식 역시 자기 중심적일 수밖에 없었다.

·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 정의와 긍휼(8~14절)

하나님은 그동안 선지자들이 강조했던 핵심을 다시한번 상기하셨다. 하나님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외적인 금식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다운 삶, 즉 정의와 사랑, 그리고 긍휼을 행하는 삶이다. 진실한 재판을 행하며, 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며,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와 궁핍한 자를 압제하지 말며, 서로 해하려고 마음에 도모하지 않기를 바라신다. 하지만 백성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듣기를 거부하고 마음을 금강석 같이 굳게 했다. 그 결과 하나님의 징계와 심판을 피할 수 없었다. 하나님은 "내가 불러도 그들이 듣지 아니한 것처럼 그들이 불러 불러도 내가 듣지 아니하리라"고 선언하셨고, 그들을 이방 나라에 흩으셨다.

당신은 형식적인 신앙생활이 아니라 진심으로 하나님을 믿고 섬기는 사람인가? 당신의 믿음은 어떤 삶의 증거로 나타나고 있는가?


기도

형식적인 신앙생활에 빠지기 않게 하시고 진심으로 하나님을 믿고 섬기는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소서.


삶속으로

류빈스타인은 전세계적으로 손꼽히는 피아니스트다. 그는 뛰어난 재능을 가졌지만, 연습광으로도 알려져 있다. 심지어 여행이나 공연을 위해 다닐 때도 연습용 피아노를 늘 가지고 다니면서 연습을 전념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하루를 연습하지 않으면 내가 알고, 이틀을 연습하지 않으면 평론가가 알고, 3일을 연습하지 않으면 관객이 안다.” 공연장에서 얼마나 멋진 연주를 하느냐는 외적인 것이 아니라, 얼마나 평소에 연습을 했느냐는 내적인 면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이다. 신앙도 마찬가지다. 외적인 신앙생활을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내면의 진정한 믿음이라고 할 수 있다. 외적인 신앙의 모습만이 아니라 내적인 믿음이 성장해 가는 그리스도인이 되길 소망해 본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17Q041Wv-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