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금식이 기쁨의 절기로, 스가랴 8장 14~23절] 양승언 목사
금식이 기쁨의 절기로
8월 14일(목)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스갸랴 8장 14~23절
하나님의 돌이키심과 백성의 돌이킴 14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너희 조상들이 나를 격노하게 하였을 때에 내가 그들에게 재앙을 내리기로 뜻하고 뉘우치지 아니하였으나 15이제 내가 다시 예루살렘과 유다 족속에게 은혜를 베풀기로 뜻하였나니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지니라 16너희가 행할 일은 이러하니라 너희는 이웃과 더불어 진리를 말하며 너희 성문에서 진실하고 화평한 재판을 베풀고 17마음에 서로 해하기를 도모하지 말며 거짓 맹세를 좋아하지 말라 이 모든 일은 내가 미워하는 것이니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기쁨의 절기로 변하는 금식 18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19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넷째 달의 금식과 다섯째 달의 금식과 일곱째 달의 금식과 열째 달의 금식이 변하여 유다 족속에게 기쁨과 즐거움과 희락의 절기들이 되리니 오직 너희는 진리와 화평을 사랑할지니라
열방의 나아옴 20만군의 여호와가 이와 같이 말하노라 다시 여러 백성과 많은 성읍의 주민이 올 것이라 21이 성읍 주민이 저 성읍에 가서 이르기를 우리가 속히 가서 만군의 여호와를 찾고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자 하면 나도 가겠노라 하겠으며 22많은 백성과 강대한 나라들이 예루살렘으로 와서 만군의 여호와를 찾고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리라 23만군의 여호와가 이와 같이 말하노라 그 날에는 말이 다른 이방 백성 열 명이 유다 사람 하나의 옷자락을 잡을 것이라 곧 잡고 말하기를 하나님이 너희와 함께 하심을 들었나니 우리가 너희와 함께 가려 하노라 하리라 하시니라
묵상하기
1.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회복의 약속을 주셨다. 그 내용은 무엇인가? (14~19절)
2. 하나님의 회복의 약속은 단순히 이스라엘을 넘어 모든 백성을 위한 것이었다. 그 내용을 찾아보라. (20~23절)
3. 애통의 금식일이 기쁨과 즐거움과 희락의 절기가 될 것이라는 말씀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4. 눈물로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단을 거두게 하실 것이다. 당신은 이 사실을 믿는가? 당신이 오늘 뿌려야 할 눈물의 씨앗은 무엇인가?
길잡이
오늘 본문은 회복된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이 주시는 약속과 그에 따른 윤리적 요구를 담고 있다.
· 하나님의 은혜로운 뜻(14~15절)
하나님은 과거 이스라엘이 범죄했을 때 그들을 징계하기로 정하셨고, 그 뜻을 돌이키지 않았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은 멸망 당하고 포로가 되는 고난을 겪었다. 이것은 하나님의 공의로움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제 하나님은 예루살렘과 유다 족속에게 은혜를 베풀기로 작정하셨다. 따라서 백성들에게 두려워 말라고 말하셨다. 과거의 심판이 하나님의 확고한 뜻과 주권 아래 이루어진 것처럼, 회복과 은혜도 하나님의 변함없는 뜻과 주권 아래 이루어지므로 염려하거나 의심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 회복된 백성에게 요구되는 삶(16~17절)
하나님은 회복된 공동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구체적인 윤리적 지침을 주셨다. 하나님의 은혜를 받은 백성으로서 합당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1)진실과 화평: 이웃과 더불어 진리를 말하며 진실하고 화평한 재판을 베풀라고 명령하신다. 이것은 개인의 관계와 사회 전체에 진실과 정의가 회복되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2)악을 멀리하라: 마음에 서로 해하기를 도모하지 말며 거짓 맹세하기를 좋아하지 말라고 하셨다. 하나님은 이런 것들을 미워하시기 때문이다. 내적 마음의 동기와 외적인 행동 모두에서 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라는 요구다.
· 금식일이 기쁨의 절기로 변함(18~23절)
바벨론 포로기 동안 이스라엘 백성은 4, 5, 7, 10월의 금식을 통해 나라의 멸망을 애통해 했다. 하지만 하나님은 이제 모든 금식일들을 즐거움과 기쁨과 희락의 절기로 바꾸어 주겠다고 약속하신다. 이는 그들의 슬픔이 완전히 끝났고 하나님의 축복과 회복이 온전히 이루어졌음을 상징한다. 물론 이런 축복을 누리기 위한 조건이 있다. 그것은 진리와 화평을 사랑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은혜는 공짜로 주어지지만, 은혜를 받은 사람이라면 은혜에 합당한 삶을 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가랴는 놀라운 예언을 한다. 장차 많은 백성과 강대한 나라의 주민들이 예루살렘으로 와서 하나님을 찾게 될 것이다. 이는 이스라엘의 회복이 단순히 정치적, 민족적 회복에 그치지 않고 모든 민족에게 복이 되는 통로가 될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이 너희와 함께 하심을 들었나니 우리가 너희와 함께 가려 하노라"는 말은 이스라엘이 더 이상 고립된 민족이 아니라, 하나님을 따르는 모든 민족의 중심이 될 것을 보여준다. 이는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될 복음의 확장을 예표한다.
눈물로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단을 거두게 하실 것이다. 당신은 이 사실을 믿는가? 당신이 오늘 뿌려야 할 눈물의 씨앗은 무엇인가?
기도
우리의 슬픔을 기쁨으로 바꾸실 하나님을 바라봄으로 믿음의 길을 걸어가게 하소서.
삶속으로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수용소에 갇힌 코리 텐 붐과 그녀의 언니는 매일 고통과 굶주림 가운데 있었다. 게다가 방 안에는 벼룩이 가득해 제대로 잠도 자지 못했다. 하지만 감사하라는 성경 말씀에 따라 벼룩에게도 감사하기로 결심했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은 나치 경비병들이 벼룩 때문에 그 방에 들어오지 않았고, 덕분에 두 자매는 매일 기도회와 성경공부를 자유롭게 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고통스러운 현실 속에 감춰진 하나님의 섭리가 있음을 깨닫게 된다. 비록 당장은 힘들고 어렵지만 우리의 인생을 붙잡고 있는 하나님의 선하신 손길을 바라볼 줄 아는 사람이 되길 소망해 본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xffMi8-nv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