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죄책감을 버리고 소망으로, 시편 130~131편] 양승언 목사
죄책감을 버리고 소망으로
8월 28일(목)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시편 130~131편
130편(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깊은 곳에서 부르짖음 1여호와여 내가 깊은 곳에서 주께 부르짖었나이다 2주여 내 소리를 들으시며 나의 부르짖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소서
죄를 용서하시는 하나님 3여호와여 주께서 죄악을 지켜보실진대 주여 누가 서리이까 4그러나 사유하심이 주께 있음은 주를 경외하게 하심이니이다
하나님을 간절히 바람 5나 곧 내 영혼은 여호와를 기다리며 나는 주의 말씀을 바라는도다 6파수꾼이 아침을 기다림보다 내 영혼이 주를 더 기다리나니 참으로 파수꾼이 아침을 기다림보다 더하도다 7이스라엘아 여호와를 바랄지어다 여호와께서는 인자하심과 풍성한 속량이 있음이라 8그가 이스라엘을 그의 모든 죄악에서 속량하시리로다
131편(다윗의 시 곧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어린아이 같은 신앙 1여호와여 내 마음이 교만하지 아니하고 내 눈이 오만하지 아니하오며 내가 큰 일과 감당하지 못할 놀라운 일을 하려고 힘쓰지 아니하나이다 2실로 내가 내 영혼으로 고요하고 평온하게 하기를 젖 뗀 아이가 그의 어머니 품에 있음 같게 하였나니 내 영혼이 젖 뗀 아이와 같도다
이스라엘을 향한 권고 3이스라엘아 지금부터 영원까지 여호와를 바랄지어다
묵상하기
1. 시편 130편에서 저자는 하나님 앞에 죄 용서를 간구한다. 그는 어떻게 죄 용서를 구하며 그가 이렇게 기도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2. 시편 131편에서 다윗은 하나님 앞에서 가져야 할 겸손한 태도에 대해 노래한다. 그는 어떤 자세로 하나님 앞에서 살고자 노력했는가?
3. 내가 깊은 곳에서 주께 부르짖는다는 고백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4. 우리가 하나님 앞에 죄를 고백할 때 하나님은 용서해 주시고 회복시켜 주신다. 당신은 자신의 죄에 대해 통회하는 마음을 갖고 있는가? 하나님 앞에 용서와 회복을 구해야 할 죄나 잘못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길잡이
시편 130편은 죄의 용서를 간구하는 시인의 절박한 마음을 담고 있다. 이 시는 참회시에 속하며, 고통과 죄책감 속에서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고 그분의 구원을 기다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깊은 곳에서 부르짖음(1~2절)
시인은 '깊은 곳에서' 하나님께 부르짖는다. '깊은 곳'은 단순히 물리적인 깊이를 넘어, 죄와 고통으로 인한 영적, 정서적 절망의 상태를 의미한다. 시인은 자신의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오직 하나님만이 자신을 건져 주실 수 있음을 고백하며 간절히 도움을 청한다.
· 죄를 용서하시는 하나님(3~4절)
시인은 만약 하나님께서 사람의 죄를 일일이 따지신다면, 아무도 그 앞에 설 수 없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하나님께는 '용서하심' 이 있기에, 사람들이 하나님을 경외할 수 있다고 고백한다. 이 부분은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가 공존함을 보여준다. 시인은 죄를 인정하면서도 하나님의 용서하시는 성품을 의지한다.
· 하나님을 간절히 바람(5~8절)
시인은 자신의 영혼이 하나님을 기다리며, 그분의 말씀에 소망을 둔다고 고백한다. 파수꾼이 아침을 기다리는 것처럼, 시인은 밤새도록 하나님을 간절히 기다린다. 이 비유는 시인의 기다림이 얼마나 절실한지를 강조하며, 새벽이 오면 어둠이 사라지듯, 하나님의 구원이 반드시 임할 것이라는 확신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시인은 개인적인 고백을 넘어 이스라엘 공동체에게 권면한다. 시인은 이스라엘이 여호와를 바랄 것을 촉구하며, 하나님께는 '인자하심'과 '풍성한 구속' 이 있다고 선포한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모든 죄를 사해주실 분이심을 강조하며 희망을 줍니다. 이는 개인의 구원이 공동체의 구원으로 확장되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시편 131편은 다윗의 시로, 하나님 앞에서 어린아이와 같은 겸손한 마음을 가지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 어린아이와 같은 신앙(1~2절)
다윗은 자신의 마음이 교만하지 않고 남을 업신여기지 않으며, 눈이 높아져서 현실에 맞지 않는 꿈을 꾸지 않았다고 고백한다. 또한 자신의 능력 밖의 너무 큰일이나 놀라운 일을 억지로 이루려고 애쓰지 않았음을 밝힌다. 이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하나님이 주신 분량 안에서 만족하겠다는 겸손한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젖 뗀 아이는 더 이상 엄마의 젖을 갈망하며 울지 않는다. 대신 엄마의 품에 안겨 평온과 안정을 누린다. 이는 영적으로 우리가 하나님의 뜻에 대해 조바심이나 욕심을 내려놓고, 그분 안에서 참된 안식과 평화를 얻어야 함을 보여준다. 젖 뗀 아이처럼, 우리도 이제 스스로 해결하려는 욕망을 버리고, 오직 하나님의 품 안에서 만족하고 신뢰해야 한다는 것이다.
· 이스라엘을 향한 권고(3절)
다윗은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고백을 이스라엘 공동체 전체로 확장시키고 있다. 이는 단순히 다윗 한 사람의 겸손이 아니라,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을 바라는 마음으로 겸손히 그분을 의지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개인의 영적 고백이 공동체의 영적 지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우리 모두가 영원히 하나님께 소망을 두어야 함을 상기시켜 준다.
우리가 하나님 앞에 죄를 고백할 때 하나님은 용서해 주시고 회복시켜 주신다. 당신은 자신의 죄에 대해 통회하는 마음을 갖고 있는가? 하나님 앞에 용서와 회복을 구해야 할 죄나 잘못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기도
날마다 우리 자신의 모습을 정직히 돌아보고 하나님 앞에 용서와 회복을 구하게 하소서.
삶속으로
1970년대 미국에서 실제 있었던 일이다. 한 청년이 잘못을 저질러 감옥에 수년간 복역했다. 형기를 마치고 출소하게 되었지만, 그의 마음속에는 두려움이 가득했다. “아버지가 나를 아직도 받아주실까? 혹시 나를 부끄러워하시진 않을까?”
그래서 그는 출소하기 전, 고향집으로 편지를 보냈다. “아버지, 제가 이번에 집으로 가는 기차를 탈 예정입니다. 우리 집 앞마당에는 오래된 참나무가 하나 있지요. 만약 저를 여전히 받아주신다면, 그 나무에 노란 리본 하나를 매어주세요. 기차가 집 앞을 지날 때 리본이 보이면 내리겠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냥 지나가겠습니다.”
며칠 뒤, 청년은 두려운 마음으로 기차에 올랐다. 집이 가까워질수록 심장이 더 세게 뛰었다. 드디어 기차가 집 앞을 지날 때, 그는 창문 밖을 내다보았다. 그리고 그 순간, 그는 눈물을 쏟았다. 참나무에만 리본이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마당의 모든 나무, 울타리, 심지어 지붕까지 온통 노란 리본으로 가득했던 것이다. 아버지는 단 하나의 리본으로는 부족하다 생각했고, 혹시나 아들이 보지 못할까 봐 사방에 달아 놓은 것이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7CFmfYVuh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