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5 [우리는 깨어 오늘을 살고, 데살로니가전서 4장 13절~5장 11절] 양승언목사
우리는 깨어 오늘을 살고
9월 5일(금) 매일성경 큐티 _ 양승언 목사
데살로니가전서 4장 13절~5장 11절
죽은 자들의 부활에 대하여 13형제들아 자는 자들에 관하여는 너희가 알지 못함을 우리가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소망 없는 다른 이와 같이 슬퍼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14우리가 예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심을 믿을진대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 15우리가 주의 말씀으로 너희에게 이것을 말하노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우리 살아 남아 있는 자도 자는 자보다 결코 앞서지 못하리라 16주께서 호령과 천사장의 소리와 하나님의 나팔 소리로 친히 하늘로부터 강림하시리니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자들이 먼저 일어나고 17그 후에 우리 살아 남은 자들도 그들과 함께 구름 속으로 끌어 올려 공중에서 주를 영접하게 하시리니 그리하여 우리가 항상 주와 함께 있으리라 18그러므로 이러한 말로 서로 위로하라
주님이 강림하시는 때와 시기에 대하여 1형제들아 때와 시기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2주의 날이 밤에 도둑 같이 이를 줄을 너희 자신이 자세히 알기 때문이라 3그들이 평안하다, 안전하다 할 그 때에 임신한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이 이름과 같이 멸망이 갑자기 그들에게 이르리니 결코 피하지 못하리라 4형제들아 너희는 어둠에 있지 아니하매 그 날이 도둑 같이 너희에게 임하지 못하리니 5너희는 다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라 우리가 밤이나 어둠에 속하지 아니하나니 6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이들과 같이 자지 말고 오직 깨어 정신을 차릴지라 7자는 자들은 밤에 자고 취하는 자들은 밤에 취하되 8우리는 낮에 속하였으니 정신을 차리고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자 9하나님이 우리를 세우심은 노하심에 이르게 하심이 아니요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하심이라 10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사 우리로 하여금 깨어 있든지 자든지 자기와 함께 살게 하려 하셨느니라 11그러므로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기를 너희가 하는 것 같이 하라
묵상하기
1. 바울은 당시 먼저 죽은 성도들로 인해 슬픔에 빠진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위로하기 원했다. 바울은 죽은 자들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13~18절)
2. 바울은 주의 날, 즉 예수님이 다시 오실 때에 대해 말한다. 재림의 시기에 대해서 바울은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1~11절)
3. 그 날이 도적처럼 임하게 될 것이라는 말씀에서 당신은 무엇을 느끼는가?
4. 당신은 영적으로 깨어 예수님을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주님을 다시 만날 날을 바라봄으로 오늘 당신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길잡이
· 죽은 자의 부활에 대하여(13~18절)
바울은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자들에 대해 무조건 슬퍼하지 말라고 하는 게 아니라, 소망 없이 슬퍼하지 말라고 권면한다. 세상 사람들은 죽음이 모든 것의 끝이라고 생각하기에 절망하지만, 그리스도인에게는 부활이라는 확실한 소망이 있기 때문이다.
바울은 예수님이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신 것처럼, 하나님께서 예수님 안에서 잠자는 자들(이미 죽음을 맞이한 성도들)도 예수님과 함께 다시 살리실 것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죽음을 잠에 비유한 것은 죽음이 영원한 끝이 아니라 부활과 영원한 삶이 기다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바울은 예수님의 재림 장면을 역동적으로 묘사한다. 여기서 호령은 왕이나 장군이 내리는 명령과 같은 권위 있는 소리를, 천사장의 소리는 재림의 영광을, 하나님의 나팔소리는 승리와 새 시대의 시작을 나타낸다.
예수님의 재림 시, 먼저 죽었던 그리스도인들이 부활하고 그 후에 살아남은 사람들이 변화될 것이다. 이는 죽은 자들이 결코 소외되지 않고, 오히려 살아 있는 자들보다 먼저 부활하여 예수님을 맞이하게 됨을 분명히 알려준다. 여기서 끌어 올리다는 ‘갑작스럽게 취하다’라는 뜻으로,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님을 만나기 위해 갑작히 들림 받게 될 것임을 묘사한다. 따라서 예수님의 재림과 부활에 대한 소망의 메시지로 서로를 위로할 수 있어야 한다.
· 주님이 강림하는 시기와 때에 대하여(1~11절)
바울은 주의 날, 즉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이 언제 올지 구체적인 때와 시기를 알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 날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하는 때에 밤에 도둑같이 갑작스럽게 올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평안하다, 안전하다”고 말할 때, 갑자기 멸망이 닥칠 것이며, 이는 마치 해산의 고통이 임하는 것과 같아서 피할 수 없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은 어둠에 있지 않으므로 그 날이 도둑같이 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바울은 이야기한다. 그리스도인들은 빛의 아들이며 낮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바울은 그들이 잠자는 사람들처럼 살지 말고, 깨어 있고 정신을 차려야 한다고 권면한다. 영적으로 무감각해 지거나 세상의 것들에 빠져 살아가면 안된다고 경고하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재림을 준비해야 하는가? 첫째 믿음과 사랑의 흉배를 입어야 한다. 군인이 흉배로 심장을 보호하듯, 그리스도인은 믿음과 사랑으로 마음을 보호해야 한다. 둘째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써야 한다. 투구가 머리를 보호하듯, 재림에 대한 구원의 소망이 우리의 생각을 지켜야 한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택하신 목적은 심판과 진노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을 받게 하기 위함이다. 예수님께서 우리를 대신해서 십자가 위에서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깨어 있든지 자든지(살아 있든지 죽었든지) 주님과 함께 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말씀을 가지고 서로 격려하고 덕을 세우라고 바울은 결론을 맺는다.
바울은 그 날이 도적처럼 임하게 될 것이라는 말한다. 당신은 영적으로 깨어 예수님을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주님을 다시 만날 날을 바라봄으로 오늘 당신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기도
날마다 깨어 기도하며 다시 오실 주님을 소망하며 기다리는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소서,
삶속으로
1873년 겨울, 미국 시카고에서 한 남자가 손에 쥔 전보 한 장을 오래 바라보고 있었다. 전보에는 단 네 글자만 씌여 있었다. “Saved alone(나만 살아남았어요).” 보낸 이는 아내, 안나였다. 대서양을 건너던 배가 침몰했고, 네 딸이 한날에 바다에서 숨지게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호레스트 스패포드는 모든 것을 잃은 듯한 표정으로 그 순간 무릎을 꿇었다.
스패포드는 시카고의 신실한 그리스도인이자 변호사였다. 몇 해 전 시카고 대화재로 큰 재산 손실을 겪었고, 그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자녀들의 죽음을 맞았던 것이다. 아내를 위로하기 위해 그는 급히 배를 타고 영국으로 향했다. 항해 도중 선장은 그에게 말했다. “여기가 그 배가 가라앉은 해역입니다.”
그 밤, 그는 객실로 돌아와 노트를 펴서 믿음의 고백을 적기 시작했다. “평안할 때에도, 슬픔이 파도처럼 밀려올 때에도, 내 영혼은…. 평안해!” 하나님 앞에서 그는 눈물을 숨기지 않았지만, 부활과 영원한 생명에 대한 소망의 닻을 깊이 내렸던 것이다. 그때 그가 지은 시가 우리가 잘 아는 찬송가 “내 평생에 가는 길”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다시 오실 예수님을 바라봄으로 소망을 잃지 않는 그리스도인이 되길 소망해 본다.
아침묵상 영상으로 이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 YouTube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youtu.be/FC74_oR3yjo